경량복합재 물성예측 서비스

플라스틱 컴파운드 적용 산업
process 이미지
기계적 물성 / 유변 물성 / 물리 물성
기계적 물성
  • 재료가 외부 힘이나 하중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물리적 특성 (강도, 경도, 인장력, 탄성 등)
  • 물성을 통해 재료의 내구성, 안전성 성능 평가 및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재료 선택 및 설계의 기준
  • 관련 물성: 굴곡강도, 굴곡탄성률, 아이조드 충격강도, 인장강도-항복, 인장탄성률, 신율-항복
유변 물성
  • 재료가 변형되거나 흐를 때 나타나는 점탄성 거동을 의미하는 특성 (점도, 탄성, 응력 완화, 전단 속도 등))
  • 주로 폴리머, 고무, 코팅재 등의 가공성 및 성형성을 평가하며 공정 최적화 및 품질 관리를 위한 핵심 지표
  • 관련 물성: 용융질량지수, 용융밀도
물리 물성
  • 재료의 기본적인 물리적 성질을 나타내는 특성
  • 관련 물성 : 밀도
기계적 물성 시험 및 평가
  • 굴곡강도, 굴곡탄성률, 아이조드 충격강도, 인장강도-항복, 인장탄성률, 신율-항복
  • 사출공정 (IN-02) 을 통해 제작된 시편을 사용하여 측정
  • 단일 지점(point) 값의 6종 물성
1. 굴곡 시험 (Bending, Flexural test) / ISO 178
굴곡강도 (단위 MPa) : 시편이 굽혀질 때 파괴되기 전까지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. 재료의 굽힘 하중 저항 능력을 나타냄
굴곡 탄성률 (단위 MPa) : 굽힘 변형에 대한 저항성으로, 재료가 얼마나 단단하게 굽힘에 견디는지를 나타냄. 굴곡평가 상세
2. 인장 시험 (Tensile test) / ISO 527
인장강도-항복 (단위 MPa) : 시편이 인장 하중을 받을 때 영구 변형이 시작되는 시점의 응력으로, 재료의 항복 특성을 평가할 때 사용됨.
인장탄성률 (단위 MPa) : 인장 하중에 대한 변형 저항성으로서, 재료의 강성과 연성을 판단하는 지표
신율-항복 (단위 %) : 재료가 항복점에 도달했을 때 시편의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, 재료가 탄성 범위를 벗어나 영구 변형을 시작하는 지점을 정량적으로 평가 인장평가 상세 3. 충격 시험 (Impact test) / ISO 180
아이조드 충격강도 (단위 kJ/m2) : 충격 하중에서 재료가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량이며, 재료의 내충격성과 파괴 저항성을 평가할 때 사용됨
유변 물성 / 물리 물성
  • 유변: 용융질량지수, 용융밀도
  • 물리: 밀도
  • - 단일 지점(point) 값의 3종 물성
Flow Test 설명
4. 유동 및 가공성 시험 (Flow test) / ISO 1133
용융질량지수 (단위 g/10min) : 고온에서 재료가 얼마나 쉽게 흐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
일정 온도·하중 조건에서 용융상태에서 단위시간별 얼마나 흘러나오는지를 측정
값이 클수록 재료가 더 쉽게 흐르며, 사출성형이나 압출 공정에서 가공성이 우수함을 의미
압출공정(CP-01)을 통해 제작된 시편을 사용하여 측정
용융밀도 (단위 g/cm3) : 재료가 용융 상태일 때 단위 부피당 질량을 나타내는 지표
고온에서 녹아 흐르는 재료의 밀도를 측정하여, 충진제 함량, 기포 발생 여부 등 용융 상태 구조 특성을 반영
값이 높을수록 동일 부피에 더 많은 질량이 존재하며, 사출성형이나 압출 공정에서 제품의 치수 안정성과 품질 예측에 활용
압출공정(CP-01)을 통해 제작된 시편을 사용하여 측정

5. 물리 시험 (Physical test) / ISO 1183
밀도 (단위 g/cm³): 단위 부피당 질량
재료 특성 평가(강도, 충격 저항 등), 품질 관리, 시편 균일성 확인 용도로 활용
사출공정(IN-02)을 통해 제작된 시편을 사용하여 측정